이정균
서울 성북·이정균내과의원장
의사평론가

[의학신문·일간보사]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은 지금 하얀 메밀꽃 천지다. 이효석 문학관으로 가는 길은 그래서 메밀꽃과 만나는 길이 된다. 작가 이효석(1907~1942)은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서 메밀꽃 핀 풍경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마치 아름다운 서정시를 보는 듯한 이 짧은 소설을 읽다보면 문장에 숨이 막히곤 한다. 달빛이 흐붓하다니!’ 단어를 이해하고 읽으면 왜 ‘메밀꽃 필 무렵’을 단편소설의 백미라고 부르게 되는지를 알 수 있다. 마치 한 편의 영상물을 보는 듯한 풍경이 그려진다.

이효석은 어떻게 이런 아름다운 소설을 쓰게 되었을까. 그런 사연을 조금이라도 알 수 있는 곳 그리고 작가 이효석을 알 수 있는 곳은 이효석 문학관이다. 이효석의 고향은 문학관이 있는 봉평이다. 학교를 오가며 메밀꽃이 피는 계절이면 지천으로 피어나는 메밀밭을 사이에 두고 걸어 다녔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고향을 떠난 서울과 평양 등에서 살았지만 유년시기를 보낸 고향에서의 추억과 경험은 훗날 이효석문학의 바탕이 되었다. 문학관 입구에 있는 이효석 문학비를 지나 위쪽으로 올라가면 이효석문학관이 있다. 산중턱에 자리 잡고 있어 그 아래로 한적한 마을 풍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메밀꽃이 하얗게 피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꽃이 지면 메밀을 수확하게 된다. 메밀을 메밀국수, 메밀묵을 만든다. 이효석문학관에 들르게 되면 이효석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그의 작품이 발표된 잡지와 신문, 책과 유품 등이 시대와 시간 순서에 따라 정리가 되어 있다. 그의 문학과 생애 들을 다룬 영상은 더 자세한 그의 문학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있다.

문학관에서 특히 흥미를 더 끄는 것중 하나는 집필실 풍경이다. 책상, 책장과 함께 피아노와 뚜껑이 열려있는 축음기가 있고 그 뒤쪽에는 크리스마스트리, 벽면엔 ‘MERRY X-MAS!’라고 커다랗게 붙어있는 글씨, 외국여배우 사진이 붙어있다. 이효석의 생존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인데 방의 분위기는 언뜻 와 닿지 않는 모습이다. 그런데 그 옆에는 사진 한 장이 붙어있는데 꽤나 비슷하여 문학관을 건축할 때 사진과 자료를 바탕으로 재현해 놓은 집필실은 이효석 작가의 일상생활을 비롯해 취미, 관심사가 과연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는 풍경이라고 말들 한다.

다른 문학가들의 문학관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문학관 한 쪽에 ‘세계의 메밀음식’, ‘메밀면 뽑기 과정’, ‘메밀묵 만들기’등 메밀자료 전시실이 있다는 것이라고 한다. 이제는 ‘메밀꽃 필 무렵’이란 작품을 떠올리면 모든 설치물은 이해가 쉽게 된다.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밭

우리나라 메밀 주요 산지는 제주도, 경북 봉화 등 여러 곳에 있다. 그러나 메밀하면 ‘메밀꽃 필 무렵’이라는 소설과 작가 자신의 고향이 봉평인 때문에 그럴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효석 문학관 아래로 내려오면 ‘소금을 뿌린 듯한’ 메밀꽃밭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면 이효석 생가, 이효석 평양집 등이 복원되어 있다. 반대쪽 아래로 내려가면 ‘메밀꽃 필 무렵’에 허생원과, 성처녀가 처음 만난 물레방앗간이 있다. 평창문화제가 열리면 100만㎡가 넘는 메밀꽃밭을 허생원처럼 나귀를 타고 가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문화제를 빛나게 장식 할 것이다. 메밀꽃축제는 봉평 뿐 아니라, 전북 고창, 경남 하동, 전남 장흥 등에서도 열렸었다.

이효석의 호는 가산,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경성제국대학,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925년 콩트 ‘여인’등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단편 ‘도시와 유령’을 발표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대학시절에는 결석을 많이 하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다. 함경북도 경산에서 영어교사 등을 지냈다. ‘메밀꽃 필 무렵’을 발표한 것은 1936년 경제적으로도 안정되고 사회적으로도 존경받으며 작가로서도 유명세를 이어갈 때였다. 1940년 아내와 둘째아들을 차례로 잃고 1942년 서른 다섯 짧은 나이에 결핵성 늑막염으로 삶을 마감했다.

강원 태백시 태백산도립공원 아래 들판에도 메밀꽃이 만발하여 가을 하늘과 어우러져 관광객들의 마음을 들뜨게 하고 있다. 강원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 축제인 ‘효석문화제’에서는 저마다 고장의 특색 있는 막국수 파티가 열리고 있다. 이효석 작가의 고향이며 소설의 배경이 된 평창군 봉평면은 메밀꽃 장관과 함께 ‘메밀의 메카’로 군림하고 있다. 메밀로 만든 음식은 막국수, 냉면, 전, 국수, 전병 등 다양하다. 막국수는 대표음식이다.

주로 강원도 지역에서 부족한 쌀 대신 허기를 달래던 구황음식이었지만 이제는 사계절 건강식으로 자리 잡았다. 메밀특유의 구수함과 담백함이 스며든 면에 양념을 곁들이고 동치미 국물이나 육수를 적당히 부어 먹는다. 메밀의 다소 거친 식감과 향이 목구멍을 자극하는데 막국수 마니아들은 이 맛이 막국수의 참맛이라고 말한다. 면에 편육 한 점 얹어 먹는 맛도 일품이다.

막국수 업소 관계자들은 메밀 함량이 60~70%일 때 가장 먹기 좋다고 입을 모은다. 여기에다 밀가루, 고구마 녹말가루 등을 섞어 반죽해 삶은 뒤 뚝뚝 끊어지는 메밀의 단점을 보완한다. 전국에 막국수 전문음식점들이 생겨나 성업 중이나 본고장은 역시 강원도 그 중에서도 춘천이 꼽힌다.

춘천에는 막국수집이 200여 곳 있고, 춘천막국수 박물관이 있으며 매년 막국수 축제가 열린다. 춘천막국수는 메밀껍질을 완전히 벗긴 뒤 가루를 만들어 다른 지역보다 색깔이 흰게 특징이다.

메밀은 성인병을 막는 영양분 덩어리로 루틴성분은 혈관에, 플라보노이드는 간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한다. 메밀 싹, 메밀 뻥튀기, 메밀꽃차 등도 개발되고 있다. 튀긴 메밀은 팝콘이상 고소하다니 시식해 봄직하다.

국내 메밀 재배 면적은 2446ha, 생산량은 2370t이나 국내 수요 감당하지 못해 생산량의 10배 정도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메밀 생산량의 48%를 제주도가 담당하고 있다. 생육기간 100일 정도 제주에선 연간 두차례 수확한다. 제주도의 메밀 향토음식 : 메밀칼국수, 메밀만두, 메밀막국수, 메밀조베기(제주도 수제비), 메밀묵, 메밀빙떡이 있다. 메밀빙떡은 메밀가루 반죽을 둥글게 부쳐 무나물을 넣고 말아 먹는 음식이며, 그 이름의 유래는 빙철(빙덕이나 전을 지질 때 사용하는 번철)에 지켜 만든다고 하여 그림이 생겼다고 한다. 메밀 반죽을 국자로 빙글빙글 돌려 지지는 조리법에서 나왔다는 설, 메밀 반죽 지진 것에 무나물을 넣고 빙빙 돌려 말아 만든다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메밀빙떡의 맛은 재료 본연의 맛을 그대로 표현하는 제주도 향토음식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메밀 반죽에서 나는 메밀 향과 무나물에 넣은 참기름 향 그리고 메밀 반죽의 졸깃함과 무나물의 살캉한 식감이 심심하게 느껴질 뿐이다. 자극적이거나 도드라지는 맛은 없다. 그래서 하나 먹었을 땐 무심하고, 두 개째부터는 절로 손이 가고, 많이 먹어도 물리지 않고 돌아서면 또 생각이 난다. 소화도 잘되는데 이는 메밀과 무가 가진 성질 때문이다. 우선 메밀과 무는 둘 다 소화가 잘된다. 또한 메밀은 다량의 섬유질과 루틴 등이 체내 노폐물을 배설하고 해독하는 효과를 보인다. 대사증후군이 염려되는 중년층이라면 메밀 음식을 많이 먹어주는 것이 유리하다. 대신 메밀은 찬 성질이 매우 강해 많이 먹으면 탈이 날 수 있는데 그럼 점에서 더욱 메밀빙떡을 권하고 싶다. 무의 따뜻한 성질이 메밀의 찬 성질을 감싸줘 많이 먹어도 탈이나지 않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