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돈 교수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재활 치료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진주영 기자]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삼키는 행위에 문제가 생기는 '삼킴곤란'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삼킴재활 훈련 등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음식을 삼키는 과정은 구강-인두-식도 단계로 이뤄지는데, 뇌에서 이 부분을 관장하는 연수(간뇌)와 그 주위 조직에 손상이 생기면 삼킴곤란이 발생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유승돈 교수는 “증상이 있는데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흡인성 폐렴이나 영양실조,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유승돈 교수는 "삼킴곤란 증상이 최근에 갑자기 시작됐다면 뇌졸중이 가장 흔한 원인질환이며, 발생 시기를 알기 어렵고 서서히 진행됐다면 다른 신경계 질환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유 교수는 “먼저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선행되고 이와 함께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꼭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뇌졸중‧파킨슨병이 연수마비 유발하는 대표질환

삼킴곤란의 원인질환은 다양하지만, 뇌졸중이 가장 흔하다. 뇌졸중 병변이 한쪽 대뇌반구에서만 발생했을 경우 보통 한 달 이내로 연수마비 증상도 회복된다.

하지만 양쪽 대뇌반구나 뇌줄기에 발생하면, 증상이 심하고 회복도 어렵다.

다음으로 많은 질환은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이다. 삼킴반사가 느려지고 이두 연동운동이 감소하며, 호흡과 삼킴의 상호조절이 힘들어져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길랭-바레증후군, 중증근무력증 등의 신경근육질환에서도 삼킴과 관련된 근육이 약해져서 삼킴곤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연수마비의 대표 증상으로 삼킴 곤란과 함께 발음장애(조음장애)가 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하게 하는 구강·인두의 근육은 서로 유사한 뇌신경 구조물에 의해 지배받아, 발음장애가 있는 경우에 삼킴 곤란도 의심해 봐야 한다.

삼킴장애가 의심된다면 자가 진단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먼저 음식물 없이 반복적으로 빨리 침을 삼키는 것으로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30초 동안 3번 이상 적절히 삼킬 수 있으면 삼킴곤란이 가볍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작은 숟가락(3cc)에 담은 물을 마시고 사레 증상이 있는지 호흡이 변화되는지 삼킨 후, 쉰 목소리가 나는지를 평가한다. 5초 안에 사레 없이 삼킬 수 있다면 정상이라 할 수 있다.

삼킨 후 ‘아’ 소리를 내게 하여 물에 젖은 목소리가 나는지를 확인하고 호흡에 이상이 있는지도 관찰해야 한다.

'비디오투시삼킴검사'로 체계적인 삼킴 재활치료

삼킴곤란 검사는 우선 비디오투시삼킴검사를 실시해 어느 단계에서 발생하는지 파악한다. 또한 이를 통해 앞으로 어떤 식사를 제공할지, 어떤 자세와 재활훈련법을 교육할지 계획을 수립한다.

재활치료는 먼저 푸딩, 요플레 등 다양한 점도의 음식물을 제공해, 폐로 넘어가지 않고 인두 내에 잔류물이 남지 않는 음식물이 무슨 종류인지 확인하며 실제로 먹을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와 함께 구강의 씹는 동작을 훈련하고 인두의 근육을 강화하여 흡인이 잘 생기지 않도록 하는 삼킴재활 훈련을 한다.

이때 삼킨 음식물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개를 앞쪽으로 숙이고 턱을 당긴 채로 삼키도록 자세 교정도 함께 진행한다.

한편 이런 방법에도 폐렴 발생 가능성이 큰 경우 튜브(일명 콧줄)나 위루관영양(일명 뱃줄)을 이용한 식사를 하도록 권유할 수 있다.

유승돈 교수는 “삼킴곤란은 뇌졸중의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면 호전되지만, 파킨슨병의 경우 운동 증상이 발생하면 삼킴 기능과 발음기능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조기발견과 폐렴 예방을 위해 정기적으로 삼킴검사와 발음평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거나 오래 걸리고, 가래와 기침이 늘거나 발음이 나빠지는 등 관련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