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진료과까지 관련증상‧여행이력부터 확인…열감지기 꺼내고 DUR 확인 꼭 챙겨야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중국 우한 폐렴 환자의 국내 유입이 확인된 가운데, 일선 의료기관들이 대응책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진료 패턴을 바꾸는가 하면, 메르스 사태 당시 사용했던 열감지기까지 꺼내드는 병원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한 대학병원이 외래 병동 앞에서 열감지기를 통해 메르스 사전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는 모습.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기도에 위치한 한 대학병원에서는 상황 발생 당일 곧바로 부서장급 회의를 열고 정형외과 등 비(非)호흡기질환 진료과까지 선별문진을 실시하도록 결정했다.

문진 방식은 감기 등 유사한 질환으로 인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뿐만 아니라, 병원에 내원하는 모든 환자에게 해외 여행 이력을 물어보고 의심 증상을 확인하는 절차부터 진행된다.

이같은 방침은 중국 내에서 이미 사람간 전파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이미 중국에서 약 2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태국과 일본 등 주변국까지 전파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역사회 내에서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의료기관 내 종사자를 비롯, 감염병 확산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병원에서는 홍역이나 수두 등 일부 질환에 국한돼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던 선별진료소를 재가동시키고 있으며, 메르스 사태 때 사용했던 열감지카메라 등을 준비하는 병원도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감지카메라는 메르스 사태 당시 가격이 1000만원을 훌쩍 넘었던 기기로, 현재도 일부 병원에서 유사시 사용 중인 장비다.

정부도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전산시스템 구축을 이미 마련,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0일부터 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을 통해 중국 우한에서 입국하는 인원에 대한 명단을 확보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매일 직접 발송, DUR에 여행 이력 등이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일부 의료기관에서는 DUR로 관련 명단 업데이트가 안돼 환자 이력이 확인이 안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갖고 있지만,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 질병관리본부 측의 설명이다.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관계자들은 혹여나 팬더믹 직격타를 맞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와중 속에서도 의원급 의료기관 또한 진료 프로토콜을 감염병 전파 방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전문의는 “이미 우리는 지역사회 전파의 중심이 된 병원이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메르스를 통해 확인했다”면서 “말 그대로 의료기관의 운명이 걸린 문제라는 점을 모두가 인식해주셨으면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