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신규 진행, 산업 양적·질적 성장 모색…의료현장 협업, 사업단 독립성 등 필요성 한목소리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글로벌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에 구체적 로드맵이 나왔다.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1일 양재 엘타워에서 산학연병 약 200명의 전문가들과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기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20∼‘25년까지 6년간 총 1.2조원 규모로 진행되며, 복지부를 비롯해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한다.

시장지향형 의료기기 개발을 목표로 기술개발→제품화→임상·인허가 등 전주기 지원을 위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제품 개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환경 선도 △의료공공복지 구현 및 사회문제 해결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강화 등 4개로 구성돼 있다. 공청회 개최를 계기로 사업단장 선임, 연구과제 기획‧공모 등 일련의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사업단 출범 이후 신규 과제 기회 및 선정 계획 수립은 올해 3월까지며 총 276개 과제를 예정하고 있고, 신규 과제 공고 및 선정 평가는 6월까지 이뤄지는데 단계적으로 공고 및 선정해 협약을 추진한다. 7월부터 신규 과제를 진행하게 된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지훈 PD는 “R&D 기획부터 사업화 단계까지 병원의 참여를 확대해 제품 기획 단계에서 시장 진출 단계까지 이어지는 의료현장과 연구자 협업체계를 마련하겠다”며 “개발 제품의 의료현장 적용을 위한 임상시험 바우쳐 제도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기기 세계 시장 점유율을 1.6%에서 3.6%로 올리고, 국내 시장 점유율을 36%에서 46%로 올리는 양적·질적 증대를 노리고 있다”며 “논문과 특허 및 기술 발전도 중요하지만 사업화 성과가 핵심인데, 지속적으로 의료기기 분야 R&D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R&D 결과 사장 막으려면, 사업단 독립적 운영·의료현장 소통 필수”

한편 이날 한국연구재단 김현 단장을 좌장으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패널들은 부처 간 단절적 지원으로 인해 R&D 결과물이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장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동시에 구체적 실행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돼 눈길을 끌었다.

먼저 한국광기술원 이병일 본부장은 “독립적인 운영으로 연구개발을 이끄는 것이 중요하며, 일관된 잣대와 기준으로 연구 운영에 효율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 하기를 바란다”며 “초기 1년 2년에 여러 사업을 밀어붙이기 식으로 끌고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것인데, 연구계와 소통을 통해서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업계를 대표해 참석한 리브스메드 배동환 이사는 “각 단계 별로 맡는 과제를 찾아가서 지원을 받았는데 전주기적 지원이 빨리 될수 있지 않을까 기대감이 크고 사업단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개발을 막상 했는데 병원에서 쓰이지 않으면 안 되는데, 질적 양적으로 끌어올리려면 혁신제품도 중요하지만 외산제품을 개선하는 과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박희병 전무이사는 전주기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개발과 상품화 과정을 비롯해 시장에 진출해서 나온 매출액이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겼다.

고대안암병원 박건우 교수는 “사용 경험 전파와 교육을 맡고 있는 의사들은 의료기기업체와 동업자이며 함께 제품을 개발하면 가치가 증폭된다”며 “물건을 가져가서 구매팀을 만나지말고 아이디어를 가지고 사용자들 연구자들과 직접만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