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시대, 항생제 및 다품목 처방 증가…부작용 모니터링 등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이종태 기자] 한정된 건강보험 재정내에서 DUR을 통해 의약품 사용의 질적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심평원 의약기술연구팀 김동숙 팀장은 ‘HIRA정책동향’ 기고를 통해 이같이 설명했다.

특히 김 팀장은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고가 신약, 연명치료제가 급여화 되면서 건강보험 재정내에서 약품비 지출 비율이 꾸준히 증가할 예정이라며, 안전한 약 사용을 위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의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요양병원을 예로 들면서 “대사와 배설이 떨어지는 노인이 많은 약을 먹게 되면 신장이나 간이 손상될 우려가 크다”며 “DUR을 통해 약물의 병용금기나 중복 등을 확인해 의약품을 최소한으로 복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심평원은 2017년 11억 9000건의 외래 처방전을 실시간 점검해 이 중 9000만건의 정보(팝업)를 요양기관에 제공한 바 있다.

김 팀장은 “외래 처방 점검 팝업 후에도 요양병원의 처방변경률은 처방단계에서 12.5%, 조제단계에서 1.2% 수준”이라며 “처방을 변경하는 대신에 예외사유를 기재하고 그대로 처방‧조제하는 비율이 높아 약물 부작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발사르탄 사태 당시 DUR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일부 요양기관에서 판매금지 고혈압 치료제가 처방된 것으로 나타나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또한 김 팀장은 항생제와 다품목처방액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나타냈다.

김 팀장은 “항생제 처방률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급성호흡기계 질환이 증가하며 항생제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팀장에 따르면 우리나라 항생제 사용량은 인구 1000명당 31.5DDD(Defined Daily Dose, 의약품 규정 1일 사용량)로 OECD 평균 21.1DDD보다 1.5배 가량 높다.

이어 그는 “6품목 이상 처방비율은 감소하는 편이나 여전히 요양병원 외래에서 6품목 이상 처방 비율은 16.76%로 가장 높은 편”이라며 “다품목 처방에 대한 관리 마련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 팀장은 “그동안의 정부정책은 의약품의 가격을 낮추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며 “이제는 안전하고 가격도 낮은 의약품을 의사와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