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응답 절반인 9곳 제약, 각사별 40~90명 신규채용 계획 밝혀
산업 특성 고려한 도입조건 완화, 탄력근무제 정산기간 연장 등 건의

[의학신문·일간보사=김영주 기자]내달 시행되는 주 52시간 근무제 대응과 관련, 다수 제약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만 생명을 다루는 의약품 개발 및 생산, 판매의 특수성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며 제도적용 유예, 탄력근무제 개선 등 제도적 보완을 호소하고 있다.

의학신문·일간보사가 국내 20여곳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제약 대응 및 애로사항, 건의사항을 파악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우선 대응현황을 알아봤다. 다수의 제약이 신규채용을 계획했다. 응답기업의 절반 정도인 9곳이 신규채용을 검토하고 있음을 밝혔다. 신규채용 인원은 적게는 40~50명에서 많게는 90여명까지 다양했다.

이외에 업무혁신(효율화)·생산시설 자동화·연장근무 최소화 등 회사 내부적 업무혁신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직군별 유연근무제, 탄력근무제, 본사 시차출퇴근제, 연구소 재량근무제, 영업 간주근무제 등 도입을 통한 근본적 제도개선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걱정이 많다. 또한 그 걱정의 성격도 다양하다. 어떤 기업들은 제도도입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노사합의 절차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도 있었고, 연구소 등 R&D파트의 경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의 공백시간 처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곳도 있었다. 유연근무제 도입의 엄격함, 연구부문에 있어서 재량 근로제 적용을 위한 절차의 복잡성을 호소하는 기업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영업·마케팅, 연구, 생산 등 각 분야의 특성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문제제기도 많았다. 영업·마케팅의 경우 사업장 밖 근로자에 대한 근로시간 인정여부, 학회 세미나 참석 등 처리방안, 근로시간 관리의 어려움, 병의원 등 거래처 근무시간 따른 일부 연장근로 불가피, 세미나 등 개최 따른 주말근무 불가피 등 다양한 어려움이 제기됐다.

연구의 경우 실험스케줄 상 초과근로 불가피, 특정시기 연장·주말근로 불가피 등이 난제로 지적됐다. 생산의 경우 24시간 근무부서 교대제 개편이 필요하며,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 하다는 분석이다. 일시적 생산량 급증 시 원활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특히 인건비 부담상승을 비롯 자동화 시설 장비 투자비용 증가 등 비용부담에 대한 걱정도 많았다.

이에 따라 제약기업들은 제약특성을 고려한 도입조건 완화를 비롯 포괄임금제 허용, 제도 적용 유예 등을 건의했다.

특히 가장 현실적 대안으로 산업계에서는 현행 2주 또는 3개월이내로 적용되고 있는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1년으로 늘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제약업체들은 이번 제도가 근로환경 문화의 선진화 측면에서 필요한 제도라는 데는 인식을 같이하나 제도 정착까지의 과도기적 상황에서 탄력근무제와 같은 윤활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예를 들어 연구원이 신약 프로젝트 과정에서 6개월동안 집중해 연구에 몰두하고 2개월정도 휴식기간을 갖는 것이 가능하도록 탄력근무제 정산기간을 1년정도로 연장해 주는 것도 한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