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건국대, 크로노타입과 삶의 질 연관성 분석…회복 탄력성 크면 저녁형도 큰 문제 없어

보통 ‘올빼미형 인간’으로 불리는 저녁형 인간인 경우 피로나 우울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지만 ‘회복 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저녁형 크로노타입’ 보유자라도 큰 문제가 없을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주목 받고 있다.

윤인영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윤인영 수면센터 교수와 건국대학교병원 전홍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분당서울대병원 직원 1794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주간 졸림증, 신체 피로, 우울, 불안, 삶의 질을 평가하고 크로노타입과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를 설명하며 이 같이 말했다.

연구 결과 저녁형 크로노타입이 수면의 질에는 상당한 수준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그 외 신체 피로, 우울, 불안, 삶의 질에는 회복 탄력성의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녁형 크로노타입’이 실제 개인의 신체 피로, 우울,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회복 탄력성’이 이러한 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분당서울대병원의 설명이다.

회복 탄력성이란 최근 정신의학부터 심리학, 그리고 교육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으로 부정적이거나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는 개인의 역량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윤인영 교수는 “즉각적인 변화가 어려운 크로노타입과 달리 회복 탄력성은 환경과 생활 습관, 다양한 심리 치료 프로그램 등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며 “사회적 리듬과 개인의 크로노타입이 불일치하는 경우 회복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댜 한다”고 강조했다.

크로노타입과 회복 탄력성이 변수에 따라 미치는 영향 비교 표.

한편,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SCI급 국제 학술지인 ‘시간 생물학(Chronobiology International)’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