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소이한 제약사 프로그램 표준화 필요성·학생-제약사 정확한 수요파악도 강조

약대 실무실습 과정 중 제약실무실습에서의 실습 사이트 확보가 절실한 가운데, 이를 더이상 약대 교수 개인에게 부담 지우지 않고 컨트롤 타워를 통한 조정이 이뤄져야한다고 강조됐다.

한국약학교육평가원(약평원)에서는 학생 수요와 제약 사이트에 수요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에 대한 파악이 이뤄지면 사이트 부족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정성훈 동국대 약대 교수(왼쪽)와 정세영 한국약학교육평가원장

동국대학교 약학대학 정성훈 교수는 24일 오전 대한약사회관 4층 대강당에서 열린 '약학교육 평가·인증 체계와 실무실습교육의 선진화 심포지엄'에서 '제약실무실습 현황과 선진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정 교수는 제약실무실습이 병원실무실습이나 약국실무실습과 다른 성격으로 매년 일정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병원이나 약국은 카운터 파트가 있어 실무실습이 한번 이뤄지면 내년에도 이뤄질 수있다는 예측이 가능한 반면, 제약사들은 경영진 의지에 따라 결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실습 사이트를 구하기 어렵다"며 "이는 교수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로 좀더 위에서 노력해야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학교와 제약사의 1:1 매칭이 이뤄지는 곳은 상대적으로 실무실습 프로그램을 관리하기에 유리하지만, 그외에 많은 학교들은 실습사이트를 구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설명이다.

제약사들이 매년 경영상 이유로, GMP 실사를 이유로 실무실습을 참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거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약대 교수들도 달라지는 실습 사이트를 구하기 위해 개별적인 연락을 취하느라 어려움이 많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정 교수는 "동국대는 30명이 넘어가는 경우, 한 회사가 많이 받아줘야 5~6명에 불과해 실습장소가될 제약사 등 기관을 6개 이상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서울대 제약공장에 실습 보낼 때가 많다"고 사례를 들기도 했다.

강연에서 또 제기된 문제는 실습장소와 학교와의 거리 문제였다. 정 교수는 "실습 사이트를 확보하기 힘든 상황에서 교통까지 매칭시키기 어렵다보니 실습장소-학교 간 거리가 출퇴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실습현장, 거주지) 등에 대한 방법을 찾아야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는데, 정 교수는 "매칭하는 회사마다 주력 사항이 달라 주사제만 연구하는 회사는 주사제 위주로, 경구제 중심회사는 경구제, 유통업체는 유통에만 집중하는 등 소프트웨어가 대동소이하다"며 "35개 약대 학생들이 일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연 후에는 약평원 정세영 원장이 약대생들의 제약실무실습 수요와 업체들의 학생 수요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선행돼야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정 원장은 "학생들의 불만사항은 수요자 중심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제약사에서 받고 싶은 교육이 아니기 때문에 공장실무실습기간을 줄이거나 원하는 교육을 반영해주는 방식으로 가면 사이트 문제가 해소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어 "제약사들은 제약사대로 원하고 있는 약대생 수요가 존재하고 있다"며 "학생 수요와 사이트에서의 수요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에 대한 조사를 빠른 시일 내에 파악해야 한다"고 부연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